GPT의 출현으로 인공지능(AI)은 이제 우리에게 아주 가까이 다가왔습니다. AI를 어떻게 활용하느냐가 각 기업의 경쟁력을 좌우할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읍니다. 금융권에서는 특히 AI 활용처가 다양합니다. 컨택센터, 프로세스 개선, 사기방지, 규제준수, 경영분석 [...]
대화는 인간이 가장 자연스럽게 커뮤니케이션 하는 방법입니다. 대화를 통해 정보를 얻는 것은 인간이 가장 익숙하고 편리한 정보습득 방법일 것입니다. 이 때문에 챗봇은 테크 산업이 오랫동안 연구개발되어 왔던 기술입니다. 정보를 얻기 [...]
Sponsored by 세션 소개 2023년 9월 21일 시간 주제 다시보기 14:00~15:00 2024 일의 미래 DX-협업툴 업무 혁신 전략 AI에 대한 세계적인 이슈 속에 미래의 불확실성은 더욱 가중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디지털 [...]
클라우드·AI 시대 보안 방안과 제로트러스트 업무환경 구현 디지털 전환의 시대, 클라우드는 대세가 되었습니다. 생성형 AI가 확산되면서 또다른 대전환기가 마련되고 있습니다. 그만큼 사이버위협의 범위와 규모가 커지고 공격자들의 전술과 기법도 날이 갈수록 [...]
모든 비즈니스의 씨앗이 되는 데이터. 이를 담는 데이터베이스(DB)는 기업의 빅데이터와 인프라가 담기는 필수 요소이자 가장 중요한 요소입니다. 고객 정보는 물론, 서비스 정보와 조직 정보, 거래 정보와 빅데이터까지 모두 DB에 의해 [...]
불확실한 환경과 재정적 압박 속에서 기업들은 IT 비용을 즉각 절감해야 하는 과제를 직면하고 있습니다. 이미 IT 및 보안 리소스 부재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기업 및 스타트업에게는 이보다 더 큰 [...]
안녕하십니까, 최근 AD(Active Directory)를 통한 해킹시도가 많아짐에 따라, 기업의 고민 또한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에 이러한 고민을 가지고 계신 고객분들에게 알찬 정보를 제공드리고자, 센티넬원에서 웨비나를 진행하고자 합니다. 이번 웨비나를 통해 많은 정보를 담아가시길 바랍니다. [...]
챗GPT의 등장으로 테크 업계가 시끌시끌 합니다. 챗GPT는 사람처럼 대화를 하고 글을 쓰고, 코딩을 합니다. 질문을 하면 곧바로 답을 주기 때문에 앞으로 구글이나 네이버 같은 검색엔진이 필요없어질 수도 있다는 분석이 나오기도 [...]
클라우드와 모바일 업무환경이 증가하고 디지털 혁신이 가속화되면서, 사이버공격과 위협을 탐지하고 보호해야 할 대상과 범위가 크게 확장됐습니다. 사이버위협은 갈수록 정교해지고 복잡·다양화하며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조직에서 사이버공격의 상당수는 탐지하지 못하고 놓치는 실정입니다. 탐지를 못하니 [...]
국내/해외 사업 환경의 급격한 변화에 따른 위기 해결 전략을 소개하는 유통 및 식음료 산업을 위한 UiPath 자동화 웨비나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팬데믹으로 실내 생활시간이 길어지면서 소비자들의 식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
왜 호텔테크가 필요할까요? 온라인 예약에서부터 객실 이용, 사용 이후 경험 공유까지 최신 테크를 도입하지 않으면 소비자 눈높이를 맞출 수 없는 시대가 됐습니다. [...]
눈에 보이지 않는 것은 보호할 수 없습니다. 보다 많은 보안 툴과 보안 어플라이언스를 추가하는 기존의 접근방식은 너무 번거롭고 비용이 많이 듭니다. 네트워크는 갈수록 빠르게 성장하고 있고, 여러 면에서 네트워크를 모니터링하는 도구 및 [...]
본 세션은 실시간 이벤트와 데이터를 처리하는 ksqlDB의 궁금증을 해결하는 자리입니다. ksqlDB는 카프카-네이티브(Kafka-Native)하기 때문에 Kafka 에코시스템과 폭넓게 연결하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1) 손쉽게 커넥터를 생성해 데이터 파이프라인을 구성 (2) 스트림과 테이블로 [...]
안녕하십니까. 인공지능이 기업들의 비즈니스 영역 뿐만 아니라, 삶의 다양한 영역으로 스며 들고 있습니다. 우리가 알지 못하는 사이에 앱에서 제공하는 영수증 스캔 기능을 이용하여 보험금을 청구하고 통화 내용을 자동으로 글로 기록하며 [...]
코로나19 팬데믹을 거치며 에너지, 제조, 유틸리티, 운송, 물류 등 전통 산업의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이미 많은 산업 시설의 디바이스는 보다 편리한 운영관리를 위해 원격 접속과 인터넷 연결이 허용돼 있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