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기반 옵저버빌리티와 최신 클라우드 네이티브 운영 전략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인프라부터 AI 애플리케이션 관리까지

기업은 디지털 시대에서 예측 불가능의 문제에 직면했습니다. 점점 더 복잡해지고 빠르게 변화하는 디지털 경제에서 IT시스템의 안정성 확보는 생존과 승리의 핵심으로 평가됩니다.

기업의 IT 시스템도 새로운 복잡성을 마주하고 있습니다. 온프레미스, 프라이빗 및 퍼블릭 클라우드, 컨테이너 및 쿠버네티스, 엣지 등 시스템 배포 환경은 이제 AI라고 하는 새로운 유형의 워크로드를 받아들이고 있습니다.

생성형 인공지능(AI)은 옵저버빌리티 분야에 새로운 혁신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생성형 AI는 로그 분석을 자동화하고, 이상 징후를 조기에 예측하며, 근본원인 분석을 가속합니다. 또한 복잡한 기술 용어 대신 일상 언어로 시스템과 대화할 수 있는 길을 열어 옵저버빌리티의 진입 문턱을 낮춥니다.

LLM과 AI 애플리케이션은 시스템 관리에 새로운 숙제기도 합니다. LLM은 기존 IT시스템에 새롭게 추가되는 관리 대상이면서, 자원 집약적이고 예민합니다. LLM 기반 애플리케이션은 막대한 컴퓨팅 파워와 메모리를 요구하므로, 배포를 최적화하고 비용을 관리하려면 종합적인 가시성 확보가 필수입니다.

AI 기반 이상 탐지, 클라우드 네이티브 환경에서의 옵저버빌리티, 분산 추적 기술 등 옵저버빌리티의 최신 기술과 실제 비즈니스에 적용 가능한 전략을 제시하기 위한 바이라인플러스 웨비나를 개최합니다. 

옵저버빌리티 전문가들이 공유하는 생생한 통찰력을 통해, 시스템의 복잡성을 해결하고 비즈니스의 미래를 바로 볼 수 있는 강력한 도구를 얻게 될 것입니다.

세션 소개

2025년 4월 17일

시간 주제 다시보기
14:00~14:30

Observer, Engage & Action - 옵져버빌리티를 넘어 이제는 AIOps

김민수 프로


AI 시대에 단순 모니터링을 넘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이해하고 문제를 감지하며 자동화된 대응까지 이루어지는 IT 운영의 새로운 흐름을 소개합니다. Splunk 플랫폼과 Cisco 와의 통합을 통해 운영 데이터를 하나의 플랫폼에서 관리하고, AI 기반 옵저버빌리티를 활용해 패턴을 예측하며 운영 효율성을 최적화할 수 있는 방법을 다룹니다.

14:30~15:00

ELK Stack을 사용한 로깅 시작 입문서

최병주 상무


많은 조직에서 로그 분석을 수행하기 위해 로그를 중앙 집중화하고 저장하는 것은 옵저버빌리티를 적용하는 첫 번째 단계입니다. 

이번 세션에서는 로그 관리 솔루션의 이점, 그 과정에서 직면할 수 있는 과제, 로그 집계를 시작하거나 개선하려고 할 때 나타나는 어려움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되는 방안을 알려드립니다.  

15:00~15:30

AI를 활용한 개발/테스트 환경 옵저버빌리티 뚝딱 만들기

Ralf Yang 이사


도커 컨테이너로 구성된 개발/테스트 환경의 분석 및 관련 구성의 옵저버빌리티를 위한 구축을 AI와 함께 진행합니다. 어떤 단계에 어떤 요청을 프롬프트로써 AI에게 전달하며, 어떤 결과가 나오기를 원하는지를 실습을 따라 하며 알아보는 시간을 갖습니다.

연사 소개

프로필 소개

김민수 | 프로

시스코 코리아 AppDynamics Product Special Engineer

최병주 | 상무

엘라스틱 코리아 Solutions Architect
Elastic Korea의 Principal Solutions Architect로, 주요 대기업 고객 및 공공기관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위한 전문적인 기술 지원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Ralf Yang | 이사

현) 사회적협동조합 데브옵스코리아 이사
전) 원익그룹 CMS Lab DX부문장 상무
전) 코오롱글로벌 DT전략추진실 이사
Yahoo Korea, 현대카드, GS홈쇼핑, 스타트업 CTO 등